특수법인한국방재협회
방재정보 HOME > 방재정보 > 방재정보
충남도 장마철 앞두고 풍수피해 대책 수립
등록일 2015-06-24 글쓴이 한국방재협회 조회 3446

충남도와 대전·세종시가 곧 시작될 장마철을 앞두고 '2015 여름철 풍수해 대비 재난상황대응 계획'을 수립, 비상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 충남도 도는 5∼10월 재난대비기간에 맞춰 장마철 태풍 등으로 인한 침수 및 붕괴에 대비해 비상대응시스템 가동, 인명피해 최소화 대책 실행, 재산피해 대책 실행 등의 매뉴얼을 마련했다.
 

도는 관내 15개 시·군에 총 1천685곳에 이재만 30만8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시설을 마련하고, 각 시·군은 구호물자 6천 여 점을 준비해 놓고 있다.
 

도는 또 각 시·군에 비상상황에서 접근을 통제하는 126개의 피해 우려지역을 선정해 관리하고 있고, 공공분야 재해 예·경보 시스템과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시설 점검을 하고 있다.
 

충남도는 또한 인명피해 우려 지역 199곳, 재해위험지구 20곳, 급경사지 붕괴위험지구 291곳, 해안가 위험지역 5곳, 산사태 위험지구 19곳 등 총 501곳의 재해취약지역을 지정해 각 시·군에 관리하도록 했다.
 

재해취약지역이 가장 많은 곳은 공주가 83곳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금산 48곳, 논산 41곳, 부여 38곳, 계룡과 예산 각각 35곳, 천안과 당진 각각 32곳 순이다.
 

급경사 붕괴위험지구는 아산 46곳, 금산 44곳, 계룡 33곳, 당진 26곳, 논산 24곳, 천안 23곳 순이며, 인명피해 우려 지역은 공주가 63곳, 부여 31곳, 청양 17곳, 논산 15곳 등이다.
 

해안가 위험구역은 보령시 죽도지구(남포면 월전리 843), 당진시 한진포구지구(당진시 송악읍 한진리 95번지 한진포구 일대), 태안군 안흥지구(마도지구, 근흥면 신진도 1리), 천리포항(소원면 의향 1리), 영목항(고남면 고남2리) 등이다.
 

◇ 세종시 세종특별자치시도 2015 여름철 자연재난 대비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풍수해 피해와 폭염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 손실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시는 우선 수산지구와 늘왕지구 등지의 노후저수지와 저지대 등 10곳을 인명피해 우려 지역으로 지정하고, 지역별로 시청 직원 1명을 현장책임관, 현지 마을 이장을 현장관리관이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도록 했다.
 

시는 또 반지하 주택 등 지하시설과 급경사지 등 취약시설 및 지역에 대한 전수 조사를 벌여, 배수로 문제가 있거나 안전시설 관리가 미흡한 곳 등 21곳을 안전관리대책이 필요한 곳으로 지정하고 중점 관리하고 있다.
 

세종시에는 붕괴 위험이 있는 시설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시는 산사태가 우려되는 38곳에 대해서는 순찰을 통해 이상 징후가 발견되는 즉시 조처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도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9일까지 세종시 건설현장의 장마철 대비 안전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건설청은 이 기간 생활권별 부지조성 공사 및 아파트 건설 현장 등 48개 공사현장을 대상으로 ▲ 지반 및 토사붕괴가 우려되는 현장의 안전관리대책 수립·이행 여부 ▲ 가배수로·침사지·임시저수지 배수처리 대책 ▲ 행복도시건설청 종합사업관리 시행지침 이행 여부 등을 중점 점검한다.
 

점검결과 즉시 조치가 가능한 사항은 현장 조치하고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큰 현장은 시공사에 장마철 전 보수·보강 명령을 내릴 계획이다.
 

◇ 대전시 대전시는 인명·시설보호와 교통대책 등 분야별로 나눠 풍수해 대책을 마련해 점검을 마쳤다.
 

상황관리 분야에서는 자율방재단과 민간모니터 요원 등이 참여하는 예찰활동을 강화해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때 비상연락망을 가동한다.
 

상황에 따라 근무 인력은 상시 2명에서 48명까지 늘릴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췄다.
시는 앞서 여름철 사전대비기간을 정해 피해 우려 지역 50개소, 급경사지 212개소, 산사태 취약지역 549개소, 야영장 4개소 등을 점검했다.
 

재해가 발생하면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이재민 임시주거시설(133개소·3만684명 수용)과 구호세트를 미리 준비했다.
 

지하시설물 침수 방지 장비와 자재도 확보하는 한편 침수 우려가 있는 취약도로 7개소에 대해 경찰과 사전 협의를 해 통제기준을 마련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도시철도 역사 출입구 우수유입방지시설에 대해 점검하고 만약을 대비해 도시철도 증편 운영 계획도 짜놨다"며 "출퇴근 시간에는 8회 늘려 연장 운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여름철 재해취약지역 220곳…전담관리제 실시 2015-06-24
전북 "장마 피해 줄이자"…풍수해 대책 추진 2015-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