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법인한국방재협회
방재정보 HOME > 방재정보 > 방재정보
충남도 노후 상수관로 개선·저수지 준설 '속도'
등록일 2015-11-05 글쓴이 한국방재협회 조회 4075

가뭄 극복을 위한 충남도 내 노후 상수관로 개선과 저수지 준설사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도 가뭄비상대책본부는 4일 도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3차 회의를 열고, 가뭄극복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송석두 행정부지사가 주재한 이날 회의에 보고된 대책 추진상황에 따르면 우선 생활용수 분야 노후·불량 상수관로 개량사업은 15개 시·군 중 13개 시·군에서 추진 중이다.
 

이 중 보령댐 광역상수도를 사용하는 서부 8개 시·군은 24억5천200만원을 들여 8.8㎞에 달하는 상수관로를 대상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
 

누수탐사는 보령시와 홍성·태안·청양군 등 4개 시·군에서 81건을 추진해 68건을 복구했다.
상수도관 1만2천882㎞ 중 20년 이상 노후관로는 2천226㎞이며, 서부 8개 시·군의 노후관로는 727㎞로 나타났다.
 

도는 노후·불량 상수관로 개량사업과 누수탐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정부에 누수저감 사업비를 조속히 지원해 줄 것을 건의할 방침이다.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서는 연말까지 저수지 145곳의 준설을 마치고, 용수개발은 269지구 중 207지구를 완료할 계획이다.
 

하천물을 저수지에 공급하는 양수저류는 15곳을 대상으로 하고, 농업용 공공관정 2천505개, 양수장비 2천867대, 송수호스 462㎞에 대한 점검도 할 예정이다.
 

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가 관리 중인 도내 저수지 227곳의 저수율은 34.6%로 평년(76.7%)의 45.1%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예산 예당저수지의 저수율은 24.3%, 논산 탑정저수지는 30.3%로 심각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도는 관광지 및 축제용수 분야 가뭄극복 대책으로 이미 개발된 관정을 최대한 활용하고, 분수대와 연못은 운영을 중지하거나 물을 줄이며, 물놀이시설은 단축운영을 유도할 방침이다.
 

산업단지와 발전소 등 공업용수 분야는 자체 절감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대체수원 확보방안도 찾을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급수조정 절감목표 달성상태 유지, 누수율 개선, 금강 물 활용, 관정 개발 등을 중점 추진하고, 장기적으로는 지방상수원 복원, 지천댐 개발, 저수지 상류 토사 및 오염물 유입 차단, 광역상수도 급수체계 조정 등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3일 현재 도내 생활용수 절감량은 3만2천600t으로 절감목표인 3만3천t에 1.2% 미달한 상태다. 


충북 자연재해·범죄 취약…안전등급 바닥 수준 2015-11-05
"보령댐이 작아지고 있다"…수위 평년보다 12m↓ 2015-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