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봄철 가뭄 예방 및 관계기관 공동 대응을 위한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도는 15일 도청 별관회의실에서 가뭄 발생 시 단계별 선제 대응을 위한 관계기관·단체 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도와 시·군 가뭄 대응 및 농업용수 확보 상황을 집중하여 점검했다. 이번 겨울철(2015.12.1∼2016.2.13) 강수량은 51.3㎜로 평년 강수량 68.8㎜의 86%를 보이며 가뭄이 지속하고 있다. 영서지역은 54.1㎜로 평년과 비슷하고, 영동은 평년대비 43%인 45.8㎜로 적었다. 지난 1월 영서지역은 평년대비 3%에 불과한 0.6㎜의 강수량을 기록, 43년 만의 최저 강수량을 보였다. 강수량 부족으로 10개 시·군 58개 지역에 생활용수 공급이 중단됐다. 그동안 급수 차량 25대를 투입, 1일 평균 180t, 총 3천855t과 병물 1만6천병을 지원했다. 도내 저수지 저수율은 81.8%를 유지, 평년 88.2%보다 6.4%포인트 낮다. 겨울철 강수량 절대 부족에 따른 하천수량 감소현상으로 봄철 심각한 가뭄상황이 우려된다. 산간마을의 용수부족과 3월 이후 영농철 급수난 가중을 예상하고 있다. 도는 우선 분야별로 6천216억원을 들여 장·단기 대책을 추진한다. 비상급수 운반차량 227대를 상기 가동하고, 각 기관·단체 지원 병물 긴급 투입체제를 갖춘다. 생활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급수 중단지역 등 소규모 수도시설 대체 수원을 개발한다. 특히 필요 시 목욕탕, 숙박업소 등 물 다량 사용업소 물 사용을 제한하는 등 1단계(10∼30%)∼4단계(급수중단) 별 제한급수를 시행할 방침이다. 면 지역 지방상수도 확장, 사방댐과 연계한 산간마을 용수공급, 가뭄 취약 지역 인근 취수원 공동이용 등 근원적 급수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농업용수는 영농철 대비 관정과 양수 장비 등을 특별점검하고 저수지 물 가두기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상습 가뭄지역 신규 용수원 개발과 저수지 준설 등 기능보강에도 행정력을 모을 예정이다. 물 절약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한다. 방송, SNS, 안내문 제작 배포 등 다양한 홍보활동과 함께 목욕탕, 숙박업소 등 용수 다량 사용 업소의 참여를 유도하고, 민간단체 주도 캠페인을 전개할 방침이다. 도는 '강원도 재난관리기금 운용조례' 개정도 추진한다. 가뭄재해지역에 임시 용수 확보 등을 위해 재난관리기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금 사용범위를 확대하려는 것이다. 지난 11일 입법예고를 완료해 3월 도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가뭄이 발생해야 대처하는 가뭄대책 방식도 전환한다. 가뭄 발생 예상 지역에 선제 조처를 해 사전에 피해를 예방하려는 것이다. 관계기관과의 총력 지원 체계도 구축한다. 가뭄 주의단계부터 관계기관 간 가뭄대책 회의를 상시 운영해 현장의 문제점을 즉시 해결할 방침이다. 지역 실정에 따른 시·군별 맞춤형 가뭄 대책도 추진한다. 속초시는 쌍천 대체 관정개발 조기 준공 등 지방상수도 대체 수원 확보, 동해시는 전천 수량 보족 사 달방댐 연계 공급, 평창군은 농업용수, 화천군은 소규모 급수시설에 중점을 두고 가뭄 극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는 도 관련 실·국, 18개 시·군과 12개 관계기관·단체가 참석했으며, 지난해 도내에 발생한 가뭄 해결을 위해 노력한 제1군사령부, 강원지방경찰청, 한국수자원공사 강원본부 등 7개 기관·단체에 도지사 감사패를 수여했다. 최문순 지사는 "가뭄이 반복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준비하고, 현장 중심의 대책이 시행될 수 있도록 조치해 더는 가뭄에 따른 도민 피해와 불편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관계기관의 협조를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