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법인한국방재협회
방재정보 HOME > 방재정보 > 방재정보
250억 들여 해양오염 방제 첨단기술 연구개발 추진
등록일 2016-02-17 글쓴이 한국방재협회 조회 4238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교육원은 해양오염사고 방제기술의 획기적인 개선을 위해 모두 4건의 신규 국가 연구개발(R&D) 과제를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과제별 4∼5년의 연구 기간에 올해 32억원을 포함해 총 253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게 된다.
 

이번에 새롭게 추진하는 해양오염방제 R&D 사업은 나노(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 구조체를 이용한 유출유 및 부유성 위험·유해물질(HNS) 방제기술 개발, 외부 투입형 선박 파공 막음장치 개발, 위험물질 해상 유출 확산 방지 긴급 대용기술 개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해역별 해양사고 위험도 평가 및 대응지원 시스템 구축 등 4건이다.
 

이들 연구과제는 해양 오염사고 발생 시 초기에 안전하게 파공 부위를 막는 장치 개발, 이미 유출된 오염물질의 확산 방지와 방제를 위한 신기술 개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해양오염방제 전략 체계 구축 등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이번 연구로 나노와 정보기술(IT) 등의 최신 기술을 융합해 바다 오염 방제기술과 장비를 국산화함으로써 방제산업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민안전처는 이번 달 안에 공고에 이어 3∼4월 평가를 거쳐 이들 4개 신규 해양오염 방제 R&D 사업을 수행할 주관 연구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해양경비안전연구센터 관계자는 "성공적인 국가 과제 수행으로 해양경찰의 해양오염 방제 능력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연구로 국내 해양방제산업의 기술력을 높여 수출에도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더딘 日대지진 복구…미야기현, 인프라재건 목표시기 5년 늦춰 2016-02-17
국민안전처 인사발령사항(2.16일자) 2016-02-17